UPDATED. 2024-04-19 19:00 (금)
실시간뉴스
낙석사고 70%는 2~4월 발생…해빙기 낙석관리·사고예방 ‘통합시스템’ 구축
상태바
낙석사고 70%는 2~4월 발생…해빙기 낙석관리·사고예방 ‘통합시스템’ 구축
  • 이광희 기자
  • 승인 2019.03.10 21: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낙석계측기 설치 사진 / 사진 =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제공

[푸드경제 오가닉라이프신문 이광희 기자]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낙석사고는 총 33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봄철 해빙기인 2월부터 4월 사이 발생한 낙석사고는 총 23건으로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2014년 3월 북한산 인수봉에서는 해빙기 낙석사고로 1명이 사망하는 등 3건의 인명피해와 9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해빙기 낙석은 겨우내 얼었던 바위가 기온에 따라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자연현상으로, 한번 사고가 나면 인명피해, 시설물 붕괴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바위를 지지하던 흙이 여름철 강한 비에 쓸려나가도 발생할 수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이같은 봄철 해빙기 낙석 발생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을 최근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은 암반의 경사와 균열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기준치인 5mm를 초과할 경우 현장에 설치된 경보시설로 탐방객에게 낙석 위험상황을 안내방송으로 알린다.

아울러, 각 국립공원사무소와 강원 원주시에 있는 국립공원공단의 재난안전상황실에서도 해당 탐방로를 통제할 수 있는 특화된 관리시스템이다.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은 현재 설악산 비선대 및 백담지구, 소백산 희방사 진입도로, 월출산 구름다리 및 바람폭포 일대 등 총 6곳에 설치되어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올해 11월까지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을 18개 국립공원으로 확대하고, 실시간 계측자료와 경보상황 등을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앱도 개발할 계획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전국 국립공원의 낙석위험지역(450곳)에 우회탐방로 개설, 낙석방지책 설치 등 328곳에 정비사업을 시행했다. 또한 붕괴 우려가 높은 지역, 천연보호구역, 명승지 같은 시설물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는 122대의 낙석계측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낙석계측기는 낙석 위험이 높은 암석의 경사 및 균열 변화를 측정하는 계측장비다. 

양해승 국립공원공단 재난안전처장은 “봄철 국립공원을 산행할 때 발생하는 낙석은 예측이 매우 어려워, 위험구간은 신속히 통과해야 하며, 낙석위험 경보음이 울리면 즉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