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07:10 (금)
실시간뉴스
[바다환경 보호 탐사] 불법어업 심각, 환경운동연합과의 조사에서 여실히 드러나 "특단의 대책 필요"
상태바
[바다환경 보호 탐사] 불법어업 심각, 환경운동연합과의 조사에서 여실히 드러나 "특단의 대책 필요"
  • 백종국 기자
  • 승인 2018.10.02 23: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푸드경제 오가닉라이프신문 백종국기자]  기중기가 힘을 쓰며 폐그물, 어망, 밧줄 등을 연신 건져 올린다. 쓰레기장이 아니라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의 통영 앞바다였다. 잠수사가 바다 속에 들어가는 족족 커다란 쓰레기 뭉치를 기중기에 걸어 올리니 여기가 쓰레기 하역장과 다를 게 뭔가라는 의문이 들 정도였다. 우리의 바다는 그렇게 황폐화 되어 있었다.

지난 2일 경남 통영시 화삼리 앞바다에서 열린 환경운동연합의 수중조사 현장이었다. 이날의 현장은 환경운동연합의 불법어업 근절·해양보호구역 확대 해양 캠페인 행사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어선과 함께 기중기가 설치된 바지선이 동원됐다.

바다환경 보호 항해를 위해 남해안 환경탐사에 나선 ‘엘 카피탄’호도 참여했다. 최양일 변호사, 로렌스 스미스, 최옥만 선장, 한만홍 선장 등 선박운전팀은 이 현장에 참여해 캠페인을 벌이며 바다 환경 보호를 위한 사람들의 관심을 촉구했다.

우리의 바다 상황은 일반적인 생각보다 심각했다. 화삼리 앞바다 한 곳의 상황을 목격했지만 그것이 이 앞바다에만 미치는 사실이 아님을 알고 좌절에 가까운 심경이 들었다. 이날 현장에 참여한 김명준 다이버는 “동해, 서해, 남해를 다 가봤지만 바다 속은 쓰레기 천지다”며 상황을 요약, 우리가 보는 바다의 속은 심각하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바다는 넓고 평온했지만 잠수사들의 말에 따르면 통영 앞바다 안에는 그럴듯한 생물이 없었다. 그야말로 바다는 쓰레기 매립장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화삼리 어촌 계원인 이춘태 씨는 “500M 근방의 바다에서 6개월간 20여 번 쓰레기를 50톤 이상 수거했는데 40년 전 쓰레기가 나오는 등 끝이 없다”고 말했다. 한때 정치망 어업을 했던 그는 지금은 어획량이 예전의 30% 이하로 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그는 그 이유로 바다 오염과 남획을 꼽았다.

문제는 바다 속 쓰레기를 치우는 일이 육지 쓰레기를 치우는 것보다 수십 배 힘들다는 사실이다. 이날 현장에서 쓰레기 수거를 위해 잠수사가 수시로 물속에 들어갔고 밧줄을 칼로 끊는 등 노력이 더해졌다. 또 기중기를 장착한 바지선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바다에 버려진 밧줄은 항행하는 선박을 위협하며 분해 속도 또한 느리다.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운동 단체들은 어구실명제를 통해 어구 등 불법 쓰레기 투기를 막아야 한다고 역설해 왔지만 정부는 어민 눈치를 너무 보는 상황이다. 정부 차원의 해양 쓰레기 투기는 지난 2016년 금지되었지만 일반 시민들의 해양 투기를 막는 것은 아직까지는 요원한 현실이다.

잠수사로도 활동하는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신종호 운영위원은 “바다를 매주 청소하지만 가면 또 나온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파도나 조류에 의해 바다 쓰레기가 뭉쳐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이용기 활동가는 “바다를 쓰레기 투기의 장소로만 생각했지 보존의 장소로 생각지 않았던 과거의 폐해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면서 정부가 불법어업을 강력히 규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은 환경운동연합 지부 가운데에서도 활발하게 해양쓰레기 수거와 방지에 힘쓰고 있는 곳이다. 통영은 다른 도시와는 달리 어업 관련 쓰레기 투기가 80%로 다른 곳의 4배에 이르는 곳이다.

주민들의 환경의식이 깨어 고교 1년생 1명으로 시작된 바다 환경 보고 사이트가 150명 이상으로 늘었으며, 해양 쓰레기에 나서는 주민 참여도도 4배 이상 늘었다. 3년 동안 1주일에 한 번씩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며 주민들의 신뢰를 얻은 것이다.

환경운동연합 중앙사무처 김춘이 부총장은 “쓰레기 이슈는 종량제를 잘 하고 있어 국민들의 관심이 없지만 앞으로 관심이 두어져야 할 분야”라고 말했다. 한편 행사에 앞서 환경운동연합은 2일 브리핑 문에서 불법어업 실태를 공개했다.

2020년까지 해양보호구역은 10% 이상을 차지해야 하지만 현재 1.63%에 그치고 있다. 정부가 설정한 어획량 마지노선 100만 톤이 2016년 무너지면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어린 물고기까지 싹쓸이하는 세목망 등 지속가능하지 않은 어업방식으로 해양생태계의 먹이사슬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해양쓰레기가 연간 18만 톤에 이르고 있지만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정부에 대해 ▲만연한 불법어업에 특단의 대책의 필요하고 ▲국가 책임 어구관리제 도입을 서둘러야 하며 ▲ 부분별한 물고기 남획 중단을 위해 총허용어획량 산정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 푸드경제 오가닉라이프신문 특별취재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