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7:40 (화)
실시간뉴스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 절반이 남한과 다른 이유
상태바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 절반이 남한과 다른 이유
  • 백종국 기자
  • 승인 2018.08.16 1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푸드경제 오가닉라이프신문 백종국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북한 지역의 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를 '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한 결과, 북한에서는 작약이 함박꽃으로, 자도나무는 추리나무로 불리는 등 약 50%인 1,773종의 식물명이 남한과 다르다고 밝혔다.

식물명이 다른 경우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면 외래어 순화, 비속어 배척 등 남북한의 정책적인 원인에 의한 차이가 18%정도였고, 합성명사(-나무, -풀 등)의 유무와 같은 단순한 차이가 약 10%, 두음법칙의 미사용 등의 표준어 표기법 차이가 약 7%였다.

이밖에 기준명(속명)의 차이나 문화의 차이에 따라 다른 것도 있다. 대표적으로 미나리아재비목에 속한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은 북한에서는 함박꽃으로 부른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에 분포한다.

장미목에 속한 자도나무(Prunus salicina Lindl.)는 북한에서는 추리나무로 불린다. 이 식물은 중국에 분포하며 한반도의 중부지방 이북에서 산다. 마디풀목에 속한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북한에서 송구지로 부르며 나물로 식용한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북반구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연구진은 남한의 경우 국명을 최초 부여한 문헌의 선취권을 인정하여 국명이 정해지는 반면, 북한의 경우, 국가 또는 일부 학자에 의해 제시된 통일된 정책적 기준으로 식물명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한자어, 외래어, 비속어 등을 식물명에서 배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식물명에 지역 명칭 사용도 피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조선식물지'에 수록되어 있는 식물 총200과 996속 3,523종 중 전 세계에서 북한지역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은 장군풀, 쌍실버들 등 58종으로 조사됐다.

남한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식물은 총 314종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재배하는 종과 분류학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한 139종을 제외한 175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할 예정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 '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을 15일 발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